요즘 물가가 많이 오르고 있습니다. 당신이 버는 돈은 그대로인데, 물가는 오르니 점점 가난해지고 있는 거 같지요. 다른 사람들은 코인 대박 부동산 대박으로 돈을 버는데 당신만 돈을 못 버는 거 같은 생각이 들겁니다. 뭐라도 해야 돈을 벌건데.. 이럴 때 많은 사람들은 소액으로 돈 벌 수 있는 주식에 관심을 갖게됩니다. 주식 투자에 관심있는 사람들을 위해, 주식 투자할 때 반드시 알아야할 삼성E&A 주가, 삼성E&A 주가전망, 삼성E&A 목표주가, 삼성E&A 배당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삼성E&A 주가
주가 상승 구간 분석
뚜렷한 상승 구간은 기간 초인 2024년 5월부터 7월 말까지 나타난다. 이 기간 동안 주가는 꾸준히 상승하여 7월 30일에 최고점인 29,300원을 기록한다. 또한, 기간 말인 2025년 2월 말부터 4월 30일까지 완만한 상승세가 나타난다. 이 구간에서 주가는 2024년 12월 9일 최저점인 16,300원 부근에서 소폭 상승하는 모습을 보인다.
주가 하락 구간 분석
주된 하락 구간은 최고점을 기록한 직후인 2024년 7월 말부터 12월 초까지 지속적으로 나타난다. 특히 2024년 8월과 10월에 비교적 큰 폭의 하락이 나타나며, 이후에도 하락 추세를 이어간다. 2024년 12월 9일에는 최저점인 16,300원을 기록한다.
주가 횡보 구간 분석
뚜렷한 하락 이후인 2024년 12월부터 2025년 2월 말까지는 주가가 16,000원대에서 18,000원대 사이를 오가며 횡보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 기간 동안 뚜렷한 방향성 없이 등락을 거듭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삼성E&A 실시 주가 변동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식 투자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는데요, 오늘 급등하는 주식이나 시장의 주도주에 올라타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고수들 중에서는 이 방법만 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삼성E&A 개요
주요 사업 모델
- 삼성E&A는 글로벌 에너지 종합 솔루션 기업으로, EPC(설계·조달·시공)를 기반으로 한 플랜트 건설과 친환경 에너지 사업을 핵심 사업 모델로 삼는다.
- 사업은 화공(오일·가스, 정유, 석유화학, 그린솔루션)과 비화공(산업설비, 환경, 바이오)으로 나뉜다. 화공 부문은 사우디아라비아, UAE 등 중동 지역의 대규모 가스·정유 플랜트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AHEAD 혁신모델로 고객 수익성을 극대화한다.
- 비화공 부문은 반도체·바이오 플랜트, 수처리·폐기물 처리 등 환경 인프라를 구축하며, 2023년 산업환경설비 공사 실적 8.6조 원으로 업계 1위를 기록했다. 친환경 사업은 탄소포집(CCUS), 그린수소, 생분해성 플라스틱, 지속가능항공유(SAF) 플랜트로 확장되며, 노르웨이 넬(Nel) 지분 인수와 에미레이트 바이오테크 협력으로 기술 선점에 나선다.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T)을 통해 모듈화, AI, 자동화 기술을 적용해 프로젝트 효율성을 높이고, 글로벌 40개국 네트워크와 1000여 개 프로젝트 경험을 바탕으로 사업 타당성 검토부터 시운전, 운영(O&M)까지 통합 서비스를 제공한다.
- 삼성E&A는 ESG 경영과 수익성 중심의 선별 수주 전략으로 지속 가능한 성장과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한다.
주요 수익원
- 삼성E&A의 주요 수익원은 화공·비화공 플랜트 EPC 프로젝트와 친환경 신사업에서 발생한다.
- 2024년 3분기 매출 7.7조 원, 영업이익 4844억 원 중 화공 부문이 약 70%를 차지하며, 사우디 아람코의 Fadhili 가스 플랜트(2024년 수주, 1조 원 이상), 카타르 라스라판 석유화학 플랜트, 말레이시아 바이오정유 플랜트(9.5억 달러)가 핵심이다.
- 비화공 부문은 반도체·바이오 플랜트와 환경 인프라(수처리, 소각로)로 약 25%를 기여하며, 2023년 8.6조 원의 산업환경설비 실적이 안정적 수익 기반이다. 친환경 사업은 UAE 메탄올·생분해성 플라스틱 플랜트, 오만 그린수소 프로젝트로 약 5%를 담당하며, SAF 및 CCUS 프로젝트가 신성장 수익원으로 부상한다.
- 2024년 누적 수주 11.5조 원, 수주 잔고 21.9조 원(연매출 2년 치)은 사우디, UAE, 말레이시아 등 글로벌 프로젝트 중심이다.
- 원가 절감과 손익 관리로 영업이익률 6.3%를 유지하며, 넬 지분 인수(476억 원)와 SVIC 신기술투자조합 출자(495억 원)로 수소·탄소중립 기술 투자를 확대한다. 삼성E&A는 FEED-to-EPC 전략과 혁신 기술로 수익성을 강화하며, 에너지 전환 시대의 지속 가능한 수익 기반을 구축한다.
삼성E&A 주가전망
호재 4가지
친환경 에너지 프로젝트 수주 확대
삼성E&A는 2025년 친환경 에너지 전환 전략을 통해 대형 프로젝트를 연이어 수주하며 성장 기반을 다지고 있다. Financial Times에 따르면, 2025년 1월 9억 5,000만 달러 규모의 말레이시아 피닉스 바이오 리파이너리 프로젝트를 수주하며 지속가능항공유(SAF) 시장에 진입했다. 또한, 2024년 4월 사우디 파딜리 가스 플랜트 증설 사업(8조 3,400억 원)을 수주하며 중동 시장 입지를 강화했다. 이러한 친환경 프로젝트는 글로벌 탄소중립 트렌드에 부합하며, 수소, CCUS(탄소 포집·활용·저장), 암모니아 분야에서의 추가 수주 가능성을 높인다. 이는 매출 다변화와 장기 성장 동력 확보에 기여한다.
화공 부문 수주 강세와 실적 개선
삼성E&A는 화공 부문에서 강력한 수주 체력을 바탕으로 실적 개선을 이루고 있다. 2024년 3분기 누적 수주액은 11조 5,095억 원으로, 연간 목표 12조 6,000억 원의 91.3%를 달성했다. Financial Times에 따르면, 2024년 화공 부문 수주가 14조 원에 이를 가능성이 크며, 2025년 이후 33조 원 규모의 화공 사업이 예정돼 있다. 3분기 영업이익은 2,039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2.9% 증가했으며, 원가 개선과 프로젝트 손익 관리가 수익성을 견인했다. 이는 중장기 실적 안정성과 기업 가치를 높이는 주요 요인이다.
글로벌 기술 협업과 신사업 진출
삼성E&A는 글로벌 기술 기업들과의 협업을 통해 신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2023년 캐나다 스반테와 CCUS 분야 협업 MOU를 체결했으며, 영국 카본 클린과 선박용 탄소포집시스템(OCCS) 공동개발협약을 맺었다. 2025년에는 노르웨이 수소기업 넬(Nel)의 지분 9.1%를 476억 원에 인수하며 수소 플랜트 기술 개발에 나섰다. Financial Times에 따르면, 이러한 협업은 삼성E&A의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며, 친환경 플라스틱과 데이터센터 시장 진출로 이어진다. 이는 에너지 전환 시대에 맞춘 포트폴리오 다각화로 장기 성장 가능성을 높인다.
지속가능경영과 ESG 평가 A등급
삼성E&A는 2024년 지속가능 금융 프레임워크(AHEAD)를 수립하며 ESG 경영을 강화했다. 공식 웹사이트에 따르면, 2012년부터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해 투명성을 높이고 있으며, 2024년 MSCI ESG 평가에서 A등급을 획득했다. 이는 주주와 이해관계자의 신뢰를 높이며, 친환경 프로젝트 투자 확대를 뒷받침한다. 2025년 4월 SVIC 69호 신기술투자조합에 495억 원을 출자하며 미래 에너지 기술 확보에 나섰다. 이러한 노력은 글로벌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며 기업 가치를 제고한다.
악재 4가지
비화공 부문 수주 부진
삼성E&A는 비화공 부문(산업설비, 환경, 바이오)에서 수주 부진을 겪고 있다. Financial Times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비화공 부문 수주액은 3조 4,758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1.21% 감소했다. 이는 삼성전자의 반도체 공장 투자 지연으로 캡티브 공사 수주가 줄어든 영향이다. 비화공 부문은 전체 수주 잔고의 78%를 차지하며 매출의 53.9%를 담당하지만, 단기적인 수주 불확실성은 실적 성장에 제약을 가한다. 이는 화공 부문 강세로 상쇄되고 있으나, 균형 잡힌 포트폴리오 확보가 필요하다.
논캡티브 공사 손실
삼성E&A는 2024년 논캡티브(비계열사) 공사에서 계약 변경으로 손실을 기록했다. Bloter에 따르면, 화공 부문 공사비 협상에서 790억 원의 손실이 발생했으며, 이 중 677억 원이 재무제표에 반영됐다. 이는 사우디아라비아 아람코, ADNOC 등 해외 고객사와의 협상에서 불리한 결과가 반영된 것이다. 반면, 캡티브(삼성전자 등 계열사) 공사는 6,834억 원의 이익을 냈으나, 논캡티브 공사의 손실은 수익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이는 해외 프로젝트 관리의 리스크를 드러낸다.
매출 감소와 역기저 효과
삼성E&A는 2024년 3분기 매출 2조 3,170억 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6.5% 감소했다. 공식 공시에 따르면, 이는 2023년 일회성 실적에 따른 역기저 효과와 주요 화공 프로젝트 종료의 영향이다. 2분기 매출도 2조 6,863억 원으로 전년 대비 3.6% 줄었으며, 상반기 매출 5조 710억 원은 연간 목표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 이러한 매출 감소는 단기적으로 주가 변동성을 확대하며 투자 심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영업이익은 증가했으나, 매출 회복이 필요하다.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과 원자재 비용 상승
삼성E&A는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과 원자재 비용 상승으로 비용 부담이 증가하고 있다. 2024년 화학 원료와 철강 가격이 15~20% 상승했으며, 공급망 불안정으로 자재 수급이 지연되고 있다. 이는 프로젝트 원가 상승으로 이어져 이익률을 압박한다. 또한, 중동 지역의 지정학적 리스크와 글로벌 금리 인상은 해외 프로젝트 수주와 자금 조달에 불확실성을 더한다. 삼성E&A는 철저한 프로젝트 관리로 대응 중이나, 단기적인 비용 부담은 실적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주식 투자를 한다고해서 꼭 한국 주식만 투자해야하는 것은 아닙니다. 미국 주식에도 투자할 수 있는데요, 미국대표지수에 투자하는 것도 안정적인 투자 방식중 하나입니다.
삼성E&A 목표주가
주가 컨센서스는 여러 증권사 애널리스트들이 제시한 특정 종목의 미래 목표 주가 평균값으로, 투자 판단의 참고 자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다양한 전문가의 시각을 확인하고, 주가 방향성을 예측하며, 투자 매력도를 가늠해 볼 수 있습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최근 3개월간 증권사에서 발표한 목표주가의 평균치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삼성E&A 배당금
- 2023년 배당: 삼성E&A는 2023년 배당을 실시하지 않았다. 2013년 대규모 적자 이후 10년간 무배당 정책을 유지해왔다. 이는 플랜트 업계의 원가율 상승과 저가 수주로 인한 재무 부담, 그리고 미래 성장 및 재무 건전성 강화를 위한 내부 유보 전략 때문이었다.
- 2024년 배당: 삼성E&A는 2024년 결산배당으로 보통주 1주당 660원의 현금배당을 결정했다. 배당금 총액은 약 1,294억 원, 시가배당률은 3.9% 수준이다. 이는 2013년 이후 12년 만의 배당 재개다. 2024년 1월 23일 공시된 3개년(2024~2026년) 주주환원 정책에 따라 지배지분 순이익의 15~20%를 주주환원에 활용하며, 이번 배당은 그 첫 단계다. 2024년 매출은 9조 9,666억 원, 영업이익은 9,716억 원, 순이익은 6,387억 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6.2%, 2.2%, 8.2% 감소했으나, 영업이익 목표(8,000억 원)를 초과 달성하며 배당 여력을 확보했다. 배당은 2025년 3월 20일 주주총회에서 결의되었다.
- 2025년 배당 전망: 삼성E&A는 2024~2026년 주주환원 정책에 따라 연간 지배지분 순이익의 15~20%를 배당으로 지급할 계획이다. 2025년 매출 목표는 9조 5,000억 원, 영업이익 목표는 7,000억 원, 수주 목표는 11조 5,000억 원이다. 2025년 1분기 실적은 매출 2조 980억 원, 영업이익 1,573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2.0%, 24.9% 감소했으나, 사우디 파딜리 가스 플랜트 매출이 하반기부터 본격 반영되며 실적 회복이 기대된다. 수주잔고는 21조 4,000억 원으로 안정적인 일감을 확보했다. 이를 바탕으로 2025년에도 주당 660원 이상의 배당이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
- 삼성E&A는 화공(오일·가스, 정유, 석유화학)과 비화공(산업설비, 환경, 바이오) 부문을 중심으로 운영되며, 2024년 역대 최대 수주액(14.4조 원)을 기록했다. 미처분이익잉여금 2조 원, 순현금 1.7조 원 수준의 재무 건전성을 바탕으로 배당 재개와 함께 주주환원을 강화하고 있다. 에너지 전환(수소, CCUS, SAF)과 친환경 플라스틱 사업 확장으로 중장기 성장 기반을 다지며 배당 지속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주식할 때 주식 거래 수수료도 많은 부담이 됩니다. 이런 부담을 줄이기 위해 주식거래수수료 완전 0원인 곳도 있는데요, 이런 곳을 찾아서 거래하시면 작은 돈이라도 아낄 수 있어서 좋습니다.
지금까지 삼성E&A 주가 삼성E&A 주가전망 삼성E&A 목표주가 삼성E&A 배당금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투자는 투자하는 개인 책임입니다. 틀린 내용이 있을 수 있으니,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