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가

POSCO홀딩스 주가 전망 배당금 목표주가 모르면 돈 잃는 정보 정리!

by 돈경정 2025. 4. 30.

 

 


 

요즘 물가가 많이 오르고 있습니다. 당신이 버는 돈은 그대로인데, 물가는 오르니 점점 가난해지고 있는 거 같지요. 다른 사람들은 코인 대박 부동산 대박으로 돈을 버는데 당신만 돈을 못 버는 거 같은 생각이 들겁니다. 뭐라도 해야 돈을 벌건데.. 이럴 때 많은 사람들은 소액으로 돈 벌 수 있는 주식에 관심을 갖게됩니다. 주식 투자에 관심있는 사람들을 위해, 주식 투자할 때 반드시 알아야할 POSCO홀딩스 주가, POSCO홀딩스 주가전망, POSCO홀딩스 목표주가, POSCO홀딩스 배당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POSCO홀딩스 주가

주가 상승 구간 분석

가장 뚜렷한 상승 구간은 기간 초인 2024년 5월부터 7월 말까지이다. 이 기간 동안 주가는 급격하게 상승하여 7월 30일에 최고점인 412,000원을 기록한다. 또한, 기간 말인 2025년 2월 초 최저점 이후부터 4월 30일까지 비교적 강한 상승세가 나타난다. 이 구간에서 주가는 227,500원 부근에서 시작하여 꾸준히 상승하는 모습을 보인다.

주가 하락 구간 분석

주된 하락 구간은 최고점을 기록한 직후인 2024년 7월 말부터 2025년 2월 초까지 지속적으로 나타난다. 특히 2024년 8월과 9월에 걸쳐 큰 폭의 하락을 보이며, 이후에도 등락을 반복하며 하락하는 추세를 유지한다. 2025년 2월 10일에는 최저점인 227,500원을 기록한다.

주가 횡보 구간 분석

뚜렷한 하락 이후인 2024년 12월부터 2025년 2월 초까지는 주가가 20만 원대 중후반에서 횡보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 기간 동안 큰 폭의 변동 없이 등락을 거듭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POSCO홀딩스 실시 주가 변동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POSCO홀딩스 실시간 주가 알아보기

 

주식 투자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는데요, 오늘 급등하는 주식이나 시장의 주도주에 올라타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고수들 중에서는 이 방법만 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POSCO홀딩스 개요

주요 사업 모델

  • POSCO홀딩스는 철강, 이차전지 소재, 친환경 에너지 및 인프라를 중심으로 한 글로벌 종합소재·에너지 기업이다.
  • 2022년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하며 사업 모델을 다각화했다. 철강 부문은 고로 기반의 일관제철소 운영을 통해 자동차, 조선, 건설용 고강도 강재와 프리미엄 강재를 생산하며, 포항·광양 제철소의 고효율 생산 시스템으로 세계 6위 철강사로 자리 잡았다.
  • 이차전지 소재 부문은 양·음극재, 리튬, 니켈 등 전기차 배터리 핵심 소재를 공급하며, 아르헨티나 염호 리튬 공장(2024년 준공)과 캐나다 합작 공장을 통해 글로벌 공급망을 구축한다.
  • 친환경 에너지 사업은 수소환원제철 기술 개발과 수소 에너지, 재생에너지 프로젝트를 추진하며 탄소중립을 목표로 한다. 건설·인프라 부문은 POSCO E&C를 통해 산업 플랜트와 친환경 건축을 설계·시공한다.
  • 무역 부문은 POSCO인터내셔널을 통해 철강, 원자재, 농식품 글로벌 트레이딩을 담당한다. POSCO홀딩스는 R&D와 M&A를 통해 신사업(수소, Agri-bio 등)을 육성하고, ESG 경영과 기술 혁신으로 지속 가능한 성장 전략을 추구한다.
  • 글로벌 네트워크(45개국)와 안정적 고객사(삼성, 현대차 등)를 활용해 시장 변동성에 대응하며, 2030년까지 기업 가치를 3배로 키운다는 비전을 실현한다.

주요 수익원

  • POSCO홀딩스의 주요 수익원은 철강, 이차전지 소재, 친환경 인프라(무역·건설) 사업에서 발생한다.
  • 2023년 연결 매출 77.13조 원 중 철강 부문이 약 40조 원으로 52%를 차지하며, 열연·냉연강, 스테인리스강, 선재 등 자동차·조선·건설용 프리미엄 강재 판매가 핵심이다. 이차전지 소재는 약 10%로, 양·음극재(포스코퓨처엠)와 리튬·니켈 소재가 전기차 배터리 수요 증가로 매출이 급성장했다.
  • 2024년 아르헨티나 리튬 공장 가동으로 연 2.5만 톤의 수산화리튬 판매가 추가 수익을 창출한다. 친환경 인프라 부문은 무역(POSCO인터내셔널)과 건설(POSCO E&C)로 약 33조 원(43%)을 기여하며, 철강·원자재 트레이딩과 산업 플랜트 수주가 주력이다. 무역 부문은 팜오일 사업으로 2023년 2138억 원 매출을 기록했다.
  • 수소 및 재생에너지, Agri-bio는 아직 초기 단계이나, 2030년까지 각각 10조 원 매출 목표로 신성장 수익원으로 육성된다. 2024년 3분기 매출 18.5조 원, 영업이익 2.3조 원은 철강 가격 상승과 이차전지 소재 수요 확대에 힘입은 결과다.
  • 글로벌 시장 확대와 안정적 B2B 거래로 수익 기반을 다변화하며 지속 가능성을 강화한다.

 

 

POSCO홀딩스 주가전망

호재 4가지

현대차그룹과의 전략적 제휴 강화

POSCO홀딩스는 2025년 4월 현대차그룹과 미국 루이지애나 전기로 철강 공장 건설 및 전기차 배터리 소재 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Korea Herald에 따르면, 5.8조 원 규모의 이 프로젝트는 2029년부터 연 270만 톤의 자동차용 강재를 생산하며, POSCO는 지분 투자와 강재 공급을 담당한다. 이는 미국의 25% 철강 관세 리스크를 완화하고 북미 시장 점유율을 확대한다. 또한, 전기차 배터리 소재 공급망 구축으로 ESG 경영과 미래 모빌리티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한다. 이 협력은 매출 다변화와 장기 성장 동력 확보에 기여한다.

LNG 사업 확장으로 에너지 포트폴리오 다각화

POSCO홀딩스는 2025년 3월 미국의 LNG 수출 규제 완화 정책에 대응해 LNG 사업을 확장한다. Bloomberg에 따르면, POSCO는 생산, 저장, 운송, 발전에 걸친 LNG 공급망을 강화하며, 미국 LNG 수출 증가의 수혜를 기대한다. 이는 기존 철강 중심 사업에서 에너지 분야로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는 전략이다. 특히, 글로벌 에너지 전환 트렌드와 맞물려 안정적인 수익원을 창출할 가능성이 크다. 2025년 2분기부터 LNG 관련 매출이 반영되며, 이는 중장기적으로 재무 안정성과 성장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지속가능 금융 프레임워크와 ESG 투자 확대

POSCO홀딩스는 2025년 3월 지속가능 금융 프레임워크(SFF)를 업데이트하며 친환경 프로젝트 투자를 강화했다. MarketScreener에 따르면, 2023년 1억 300만 유로를 전고체 배터리와 실리콘 음극재 기업 지분 인수에 투자했으며, 아르헨티나 리튬 염수 상용화 플랜트에 추가 자금을 투입했다. 이는 EU Taxonomy 기준 친환경 경제 활동으로 분류되며, 글로벌 ESG 트렌드에 부합한다. 이러한 투자는 탄소중립 목표 달성과 신사업 경쟁력 강화를 지원하며, 투자자 신뢰를 높인다. 이는 장기적으로 주가 안정성과 기업 가치를 제고한다.

안정적인 배당 정책과 재무 건전성

POSCO홀딩스는 2025년 2월 주당 2,500원의 연말 현금 배당을 결정하며 주주 친화적 정책을 유지했다. TipRanks에 따르면, 2024년 재무제표 승인과 함께 총 1,890억 원의 배당이 지급됐으며, 배당률은 시가 대비 1.0%로 안정적이다. 2025년 1분기 재무 안정성은 부채비율 50% 이하와 양호한 현금 흐름으로 뒷받침된다. 이는 신규 투자와 R&D 확대를 가능하게 하며, 투자자 신뢰를 유지한다. 이러한 재무 건전성은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속에서도 안정적 성장의 기반이 된다.

악재 4가지

2025년 1분기 매출 감소

POSCO홀딩스는 2025년 1분기 매출 8.97조 원을 기록하며 전 분기 대비 2.1%, 전년 동기 대비 3.4% 감소했다. TipRanks에 따르면, 이는 중국 경제 둔화와 글로벌 철강 수요 부진의 영향이다. 특히, 중국의 부동산 시장 침체와 과잉 생산은 철강 가격 하락으로 이어졌다. 영업이익은 소폭 개선됐으나, 마진 축소와 수익성 압박은 지속된다. 단기적으로 이러한 매출 감소는 주가 변동성을 확대하며 투자 심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미국 관세 정책의 리스크

2025년 2월 트럼프 대통령의 25% 철강 관세 발표로 POSCO홀딩스 주가가 52주 최저치인 227,500원까지 하락했다. Korea JoongAng Daily에 따르면, 이 관세는 미국 수출 비중이 높은 POSCO의 수익성을 위협한다. 현대차와의 루이지애나 공장 협력으로 리스크를 완화하려 하지만, 관세 적용 시 수출 마진이 10% 이상 감소할 가능성이 크다. 이는 단기적으로 북미 시장 매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며, 추가 투자 비용 부담을 가중시킨다.

원자재 비용 상승과 공급망 불안

POSCO홀딩스는 글로벌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제조 비용이 증가하고 있다. 2023년 이후 철광석과 석탄 가격이 15~20% 상승했으며, 공급망 불안정으로 원료 수급이 지연되고 있다. TipRanks의 2025년 1분기 보고서에 따르면, 원자재 비용 상승은 영업이익률을 3% 이상 압박했다. POSCO는 저가 원료 구매와 설비 효율화로 대응 중이나, 단기적인 비용 부담은 불가피하다. 이는 글로벌 철강 가격 하락과 맞물려 수익성 악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중국 경제 불확실성

POSCO홀딩스는 중국 시장의 경제 불확실성으로 철강 수요가 감소하고 있다. 2025년 2월 earnings call에서 POSCO는 중국의 부동산 및 건설 산업 침체로 철강 시장이 둔화됐다고 밝혔다. 이는 글로벌 철강 가격 하락과 수출 경쟁 심화로 이어진다. 중국의 경제 회복이 2025년 하반기에 가능하다는 전망에도 불구하고, 단기적으로는 매출과 수익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이는 POSCO의 아시아 시장 전략에 추가적인 조정을 요구한다.

 

주식 투자를 한다고해서 꼭 한국 주식만 투자해야하는 것은 아닙니다. 미국 주식에도 투자할 수 있는데요, 미국대표지수에 투자하는 것도 안정적인 투자 방식중 하나입니다.

 

 

 

 

POSCO홀딩스 목표주가

주가 컨센서스는 여러 증권사 애널리스트들이 제시한 특정 종목의 미래 목표 주가 평균값으로, 투자 판단의 참고 자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다양한 전문가의 시각을 확인하고, 주가 방향성을 예측하며, 투자 매력도를 가늠해 볼 수 있습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최근 3개월간 증권사에서 발표한 목표주가의 평균치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POSCO홀딩스 목표주가 전문가 의견 알아보기

 

 

POSCO홀딩스 배당금

  • 2023년 배당: POSCO홀딩스는 2023년 연간 총 배당금으로 보통주 1주당 10,000원을 지급했다. 이는 분기별 2,500원씩 총 4회로, 배당금 총액은 약 7,562억 원이다. 시가배당률은 약 0.7%~1.0% 수준이다. 2023년 매출은 77조 1,270억 원, 영업이익은 3조 5,310억 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9%, 27.2% 감소했으나, 기본배당 정책(주당 10,000원)을 유지하며 주주환원을 지속했다.
  • 2024년 배당: 2024년에는 분기별 주당 2,500원의 현금배당을 유지했다. 1~3분기 배당금 총액은 각 분기 약 1,890억 5,195만 원으로, 시가배당률은 0.7%다. 배당기준일은 각각 3월 31일, 6월 30일, 9월 30일이며, 지급일은 5월 16일, 8월 22일, 11월 21일이다. 4분기 결산배당은 2025년 2월 6일 공시 기준 주당 2,500원으로 결정되었으며, 배당기준일은 2025년 2월 28일, 총액은 1,890억 5,195만 원이다. 2024년 연간 총 배당금은 주당 10,000원으로 예상된다. 2024년 매출은 72조 6,880억 원, 영업이익은 2조 1,740억 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5.8%, 38.5% 감소했으나, 안정적인 배당 정책을 이어갔다.
  • 2025년 배당 전망: POSCO홀딩스는 2023~2025년 중기 배당정책에 따라 연간 별도 잉여현금흐름(FCF)의 50~60%를 배당 재원으로 활용하며, 최소 주당 10,000원의 기본배당을 보장한다. 2024년 12월 23일 발표된 기업가치 제고 계획에 따르면, 2024~2026년 최소 2조 3,000억 원의 현금배당을 계획하고 있다. 이는 연평균 약 7,667억 원 규모로, 주당 10,000원 이상의 배당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자사주 6% 소각(2024~2026년)을 병행하며 주주가치를 강화하고 있다. 철강 및 이차전지 소재 사업의 수익성 개선과 인도 제철소 프로젝트 등 글로벌 확장이 배당 여력을 뒷받침할 전망이다.
  • POSCO홀딩스는 철강, 이차전지 소재, 친환경 인프라 사업을 중심으로 운영되며, 글로벌 시장의 수요 부진과 광물 가격 하락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배당 정책을 유지하고 있다. 2025년에는 철강 사업의 경쟁력 강화와 이차전지 소재 사업의 공장 안정화로 실적 개선이 기대되며, 배당 지속성과 주주환원 정책의 신뢰도가 높아지고 있다.

주식할 때 주식 거래 수수료도 많은 부담이 됩니다. 이런 부담을 줄이기 위해 주식거래수수료 완전 0원인 곳도 있는데요, 이런 곳을 찾아서 거래하시면 작은 돈이라도 아낄 수 있어서 좋습니다.

 

 

 

 

지금까지 POSCO홀딩스 주가 POSCO홀딩스 주가전망 POSCO홀딩스 목표주가 POSCO홀딩스 배당금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투자는 투자하는 개인 책임입니다. 틀린 내용이 있을 수 있으니,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TOP

Designed by 티스토리